1. 왜 태백문화권인가
2. 태백의 선사시대
3. 태백의 삼국시대
4. 태백의 지배세력
5. 태백의 불교와 다양한 문화
6. 근대 격동기 은둔과 저항
7. 마치면서
1. 왜 태백문화권인가
ㅇ 태백은 백두대간과 남한강과 북한강 그리고 동해안 일대를 아우르는 생활권으로 예부터 우리 역사와 문화의 터전이 되어 왔다.
- 그러나 타 지역에 주목을 받지 못한 지역
ㅇ 구석기, 신석기부터 사람이 살았고, 고조선시대 예맥족의 이동 경로였고, 삼국시대에는 치열한 영토 쟁취 전쟁터였음
ㅇ 불교 문수, 관음의 성지였고, 강릉단오제 등 전통 축제의 맥이 이어오고 있음
ㅇ 고려말, 조선말 은둔과 저항의 고장
2. 태백의 선사시대
ㅇ 구석기 유적 : 약 2∽5만년
- 양구 상무룡리 유적 : 후기 구석기, 백두산 흑요석으로 만든 석기
- 제천 점말동굴 유적
ㅇ 신석기 유적 : 약 1만년 전, 빗살무늬토기, 마제석기, 장신구
- 춘천 중도와 교동 유적
- 양양 오산리 유적 등 동해안 일대 유적
* 흑요석
ㅇ 태백문화권의 선사인들은 시베리아에서 한반도 북부를 거쳐 동해안과 북한강, 남한강 상류의 산간지역에 정착하였고, 이들은 한강과 낙동강을 따라 한강, 낙동강 하류에 살았던 선사인과 교류하였다.
ㅇ 태백의 선사문화는 한반도 북부와 남부의 선사문화를 연결하는 통로이자 매개의 역할을 담당하였던 것이다.
ㅇ 청동기, 초기 철기 시대 : 만주와 한반도에 여러 부족국가 난립
- 고조선, 부여, 동예, 한, 왜
- 고구려, 백제, 가야, 신라
<참고> 예,맥족의 이동과 전쟁
ㅇ 예맥족이란?
- 고대 만주지역에 거주한 한국의 종족 명칭을 가리키는 역사용어
- 예맥에 대해서는 예와 맥으로 나누어 보거나, 예맥을 하나의 범칭(汎稱)으로 보는 견해, 예맥은 맥의 일종이며, 예는 예맥의 약칭이라는 등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.(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)
* 예족 : 고조선, 부여, 동예, 말갈, 삼한, 왜, 상나라?, 여진, 금, 청
* 맥족 : 동호, 연, 낙랑, 요, 수, 당, 원, 거란, 흉노, 신라(김씨)
* 예맥 : 고구려, 백제
* 춘천박물관 예맥논쟁 : 강원 ‘예족-맥족 논란’에… 춘천박물관 예족특별전 무산(동아일보 2018.1.4.) https://www.donga.com/news/article/all/20180104/88018537/1
ㅇ 예맥족 이동과 전쟁(추론)
① BC6000 홍산문화의 주역은 예맥족임
- 예족은 중국본토와 한반도 그리고 일본열도로 이동
- 한반도는 예족의 나라 → 맥족의 나라
② 중국최초의 역사국가인 상나라는 예족의 나라임
- 주나라(화하족)에 망한 후, 상나라 유민은 예족의 나라 요하지역 고조선으로 이동
- 주나라가 기자를 조선제후 임명
③ 한사군 설치와 멸망
- 한나라 BC108년 위만조선을 멸하고 한사군 설치
- 313년 고구려에 의해 멸망
④ 낙랑군 일부 세력 남하, 신라와 백제 왕권 장악
⑤ 고구려, 백제, 신라 삼국전쟁은 동아시아 세계전쟁으로 맥족과 예맥족의 전쟁임
- 맥족 : 신라, 당나라 예맥족: 백제, 고구려, 일본
3. 태백의 삼국시대
ㅇ 한강의 발원지인 태백은 삼국의 쟁패지였다. 3세기 이후 백제가 북한강 유역에 진출한 이후, 4∽6세기에는 고구려와 신라가 남한강을 두구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. 남한강 유역과 동해안 일대를 장악한 신라는 마침내 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다.
- 북한강과 남한강은 한반도 중부를 관통하며 북부와 남부를 연결하는 국토의 대동맥이다.
ㅇ 고구려에서 남하한 온조와 부여계인 비류는 각각 서울과 인천지역에 정착해 소국을 세웠다.
- 상류지역으로는 말갈족 때문에 진출이 어려웠다.
* 말갈족은 원래 만주와 연해주에 살았던 종족이다. 고구려가 건국하자 함경도, 강원도 일대로 내려왔다.
ㅇ 4세기 초반 고구려는 낙랑군과 대방군을 멸망시킨 뒤 한강을 사이에 두고 백제와 힘을 겨루었다.
- 371년 백제 근초고왕은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구려의 고국원왕을 전사시킴
- 475년 고구려 장수왕은 백재를 공격하여 한성을 점령하고, 개로왕을 생포 참수
ㅇ 4세기말 고구려는 신라에 쳐들어온 백제, 가야, 왜의 연합군을 물리치고자 남하하였다.
- 449년 충주에 중원 고구려비를 세워 이 지역이 고구려 지역임을 선포하였다.
- 6세기 중반까지 중원지방 장악
- 신라는 4세기말부터 고구려의 영향 아래 놓여 있었다.
* 왜의 신라 침입
ㅇ 545년 진흥왕은 죽령을 넘어 남한강 상류 진출(단양 적성비)
- 433년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자 백제와 동맹을 맺어 고구려 대항
- 568년 북한산 진흥왕 순수비 세워 한강하류지역까지 지배
ㅇ 6세기 중반 신라는 고구려와 대치했던 동해안 일대를 신라의 영역으로 복속시킴
- 4세기 후반 왜가 신라를 침입하자 신라 내물왕은 고구려에 원군을 요청
- 광개토대왕은 5만 군사를 파견 신라를 도우고, 동해안 지역을 실질 지배하고 실성왕과 눌지왕 즉위과정에 개입하는 등 신라 내정에 영향력 행사
- 503년 지증왕은 실직주를 설치하고 이사부를 군주로 파견, 우산국을 정벌하여 동해안 제해권 장악하는 등 동해안 지역에 대한 지배권 강화
* 동해안 지역은 남북으로 완만한 지형을 이루고 있어 일찍부터 한반도 남북을 쉽게 오갈 수 있는 교통로가 개발 되었음
* 해안을 따라 평야가 형성되어 있고, 백두대간이 천혜적 방어막을 형성하고 있어 동예를 비롯한 여러 군장국가 형태로 상당가간 유지되었음
* 강릉지역의 예국(濊國), 삼척지역의 실직국(悉直國), 울진지역의 파조국(波朝國, 또는 파단국(波但國)이란 군장국가가 공존해 있었는데, 이들 세 나라를 통칭하여 창해삼국(滄海三國)이라 했다.
- 1988년 봉평 신라비 발견, 신라에 복속된 실직국 주민들이 반란을 일으켜, 이를 진압한 내용이 비문에 새겨져 있음. 이 비석을 보겠다고 일본 하타(秦)씨 가문 사람들이 찾아옴.
- 하타씨는 신라에 패해 복속된 실직국 후예로 일본에 망명한 부족의 후예로 추정
* [박종인의 땅의 歷史] 조선 왕실이 500년 동안 찾아 헤맨 왕조의 뿌리, 준경묘 - 조선일보 (chosun.com)
4. 태백의 지배세력
ㅇ 명주군왕 김주원이 강릉 일대를 지배하면서 태백 일대는 신라말 고려초 역사 변동의 중심이 되었다.
ㅇ 강릉시 성산면에 있는 ‘명주군왕릉’이라고 불리는 강릉 김씨 시조묘가 있다.
- 김주원은 명주군왕이라 불리지만 원래 신라 수도 경주에 살았던 진골귀족이었다.
ㅇ 8세기 후반, 신라왕실은 성골귀족은 대가 끊기고 진골귀족이 장악하였다. 왕위는 쟁탈전에서 승리한 진골귀족이 차지하였다.
- 김주원은 김경신에 패해 명주(강릉)으로 낙향 했다. 명주는 그의 선대부터 경제적 연고가 있던 지역이엇다.
ㅇ 787년 김주원은 명주의 독자적 지배를 행사하는 ‘명주군왕’으로 불려지게 되었다.
ㅇ 명주에 남아 있던 김주원의 후손은 명주일대뿐만 아니라 남한강 유역까지 다스리는 호족세력으로 성장하였다.
- 명주군국이란 독자적 국호를 가진 제후국으로 일종의 봉건제의 유형을 띠었다.
- 궁예의 태봉을 건국하는데 도움을 주었다.
- 나말여초 변혁기에 태백문화권의 독자성을 지켜 가는데 크게 기여하였다.
ㅇ 미륵불의 화신, 태봉왕 궁예
- 궁예는 원주, 강릉지역을 기반으로 북한강 일대를 점령한 후, 철원에 태봉 건국
- 미륵신앙을 기반으로 왕권전제화를 실현하려다 신하들의 반발로 실패
- 궁예는 왕건을 추대한 측근세력에 의해 숙청
ㅇ 신라사회에 저항하면서 독자적 세력을 유지하였던 태백문화권의 정치세력은 이후 역사의 주도권을 한강 하류에 자리한 정치세력에게 넘기고 오랜 침체에 빠져 들었다.
5. 태백의 불교와 다양한 문화
< 강릉 단오제 >
ㅇ 음력 3월 20일부터 제사에 소용될 신주(神酒)를 빚는 데서 시작하여 단오 다음날인 5월 6일의 소제(燒祭)까지 약 50여 일이 걸리는 대대적인 행사이다.
- 중요무형문화재 제13호,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
ㅇ 백두대간 대관령에 국사성황당과 산신각이 있다.
- 성황신(서낭신)은 원래 성을 지켜주는 신이었다. 세월이 지난뒤 토속신으로 변해 마을을 지켜주는 수호신으로 정착
- 대관령 국사성황당의 주신은 범일국사이고, 산신은 김유신임
ㅇ 강릉 단오제는 삼한시대 이래 강릉 일대의 고유신앙을 대변해온 축제였다.
- 우리 민족의 고유 축제 원형, 일본의 마쯔리 원형?
< 태백의 불교 >
ㅇ 태백문화권에는 상원사, 월정사, 낙산사 등 이름난 고찰들이 들어서면서 교종 불교 가운데 특히 화엄사상이 크게 발전하였다.
- 화엄종의 전통위에서 새로운 선종 사상이 꽃 피웠고, 교와 선의 일치를 추구한 불교 융합의 터전이 되었다.
ㅇ 불보살이 머물고 있는 오대산
- 신라이래로 풍수가들은 국내 명산 중 가장 좋은 산으로 오대산을 꼽으며, 불법이 길이 번창할 곳이라고 하였다.
- 처음에는 단순히 문수보살이 상주하는 곳이었으나, 오방불 신앙이 수용되면서 다섯봉우리에 각각 불보살이 상주하는 곳으로 성역화
- 7세기 초 자장은 당나라 오대산에서 기도하던 중 신라 오대산에 문수보살이 머문다는 계시를 받고 귀국해 월정사를 지음
ㅇ 세조가 문수동자를 만나 괴질을 고친 상원사
- 신라시대 창건된 상원사는 고려말 특히 억불정책을 폈던 조선시대에 와서 번창하였음
ㅇ 3대 관음성지 낙산사
- 낙산사는 의상이 세운 사찰로, 서해 강화도 낙가산 보문사와 남해의 보리암과 함께 대표적인 관음 도량임.
ㅇ 사굴산문, 범일과 굴산사
- 범일은 명주 도독의 청으로 굴산사 주지가 됨
- 범일은 선종인 사굴산문을 열었고, 강릉단오제의 주신이 되었음
ㅇ 태백문화권이 보살주처신앙의 근원지가 된 이유는, 이곳이 처녀림과 같은 곳으로 때가 묻지 않은 곳이었기 때문이며, 신라중대에 불교의 대중화가 확대되면서 지방에서도 불교가 성행하고 있었던 배경에서도 찾을 수 있다.
ㅇ 고려시대 불교
< 관동팔경 >
ㅇ 관동팔경은 고려시대부터 널리 알려진 관동의 명승지
- 통천의 총석정, 고성의 삼일포, 간성의 청간정, 양양의 낙산사, 평해의 월송정, 강릉의 경포대, 삼척의 ㅇㅇㅇ, 울진의 ㅇㅇㅇ
* 신라 화랑들이 수련하고 풍류를 즐길 만큼 빼어난 경치지만, 언제부터 회자되었는지 확실하지 않음
ㅇ 관동별곡
- 강원도 관찰사로 부임하여 관동 일대를 유람하며 지은 글
< 공양왕릉과 준경묘 >
ㅇ 삼척시 근덕면 궁촌리에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의 무덤이 있다.
- 고양에 있는 공양왕 무덤은 태종때 복위돼 이장한 것으로 본다.
ㅇ 준경묘는 태조 이성계의 5대조 묘
- 풍수지리적으로 명당터며, 묘주변 금강송이 아름다움
* 영해 이색, 삼척 이승휴
6. 근대 격동기 은둔과 저항
< 화서학파와 위정척사 >
ㅇ 북한강 양평 화서 이항로(1792∽1868) 문하의 유생
- 존화양이론에 기초, 한말 위정척사론과 의병항쟁의 사상적 기틀을 다져놓았다.
* 주자와 송시열을 위대한 인물로 받듬
- 1866년 프랑스 군함이 침입하여 강화도를 약탈한 병인양요가 일어나자 김병학의 추천으로 동부승지가 되어 흥선대원군에게 척화론을 건의, 이를 국론으로 채택
- 문인으로는 의암 유인석, 면암 최익현 등 조선말 위정척사와 의병운동의 중심 세력
* 강화학파 : 숙종 말년 강화도에 은퇴해 학문을 닦은 정제두(鄭齊斗)의 양명학적 학풍을 이은 조선후기의 학파.
- 소론이라는 당색과 상호간의 혈연적 관계로 인해 250년 간 학맥을 이어나갔다.
- 이건창, 황현, 정인보
ㅇ 화서학파의 반개화, 반일운동은 한말 자주적 민족주의 운동의 본류를 이룰 정도로 최대 규모로 장기간 지속되어 일제 침략기의 항일 의병투쟁을 주도하였을 뿐 아니라, 일제 강점기의 국내외 독립운동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한국 근대 민족운동사에서 큰 의의를 지니고
있다.
< 황사영과 배론성지 >
ㅇ 천주교는 초기에는 학문적 차원에서 이해되었으나, 18세기 들어와 종교적 차원에서 받아들여졌다.
- 실학자 이익과 안정복의 문인인 권철신 권일신 형제, 정약전 정약종 정약용 3형제
- 권철신의 지도아래 수도생활을 시작했고, 이벽과 이승훈 참여
ㅇ 1801년 신유박해 때 300여명이 순교하였다
- 정순왕후가 수렴청정하면서 남인정권을 꺽기위한 계책
ㅇ 이 이후 많은 천주교도들이 제천 배론 산골에 숨어 살기 시작
ㅇ 황사영의 백서 발견
- 신앙의 자유와 조선 교회 재건방안, 북경 주교에 전달 목적
- 청나라의 내정간섭과 서양 배와 군대 파병 요청
< 동학사상 정비와 부활 >
ㅇ 1860년 경주에서 동학을 창시한 최재우가 1963년 정부의 탄압을 받아 사형당함
ㅇ 2대 교주 최시형이 태백산간에 은둔하여 동학사상을 정비하고 1880년대 후반 포교활동
- 1880년 인제에서 동학의 경전인 동경대전 인쇄
- 1890년 동학은 기나긴 잠복기를 거쳐 전국으로 확산
* 고성 왕곡마을 ‘동학의 빛’ 비석 : 1889년 2월 천도교 제2대 교주인 해월 최시형 선생이 수개월간 이곳 왕곡마을에 은거하며, 동학을 포교해 민중을 교화했다고 한다.
< 태백의 동학농민전쟁 >
ㅇ 태백문화권에서는 1984년 9월부터 11월까지 3개월동안 그야말로 불꽃처럼 농민전쟁이 일어났다.
- 동학재기의 보루가 되었던 태백문화권에서는 1894년 초 1차 동학농민전쟁 때는 별다른 움직임이 없었으나, 9월경 2차 농민전쟁이 일어나면서 농민군이 봉기하였다.
- 그해 11월 말까지 3개월에 걸쳐 불꽃처럼 일어났고, 희생자만도 수천명에 달했다.
- 동학교단의 지시나 지원없이 독자적인 활동
< 전기 의병, 호좌창의진 >
ㅇ 1895년 국모시해, 단발령 발포등 망국의 변을 당하자 화서 이항로의 문하생인 유인석이 의병대장에 취임, 호좌창의진 출범
- 단양군수, 청풍군수, 충주부 관찰사 처형 충주성 점령
- 관군과 일본군에 밀려 패배를 거듭하다가 만주로 망명
ㅇ 호좌창의진의 의병정신은 한마디로 말하면 성리학적 민족주의였다.
ㅇ 포수와 동학농민군 출신들로 구성된 병사부의 전투력은 전기의병 가운데 가장 강력
ㅇ 유인석이 이끈 호좌창의진은 의병사의 첫장을 장식할 뿐아니라 한국독립운동의 개막을 알리는 신호탄
< ‘관동창의군’ 과 민용호 >
ㅇ 또하나의 전기의병을 대표하는 민용호의 ‘관동창의군’
- ‘호좌창의진’이 제천 충주 영월 정선 등지의 내륙지역 주무대
- ‘관동창의군’은 강릉을 중심으로 울진에서 원산에 이르는 동해안 주무대
ㅇ 민용호는 경남 산청에서 태어나 명성황후의 문중 양자로 들어감
- 1895년 명성황후 시해되자 ‘예의의 조선이 하루아침에 왜의 땅으로 변하고 말았다’면서 의병을 일으킴
ㅇ 초기에는 전과를 올리기도 했으나, 결국 거듭된 패전 끝에 만주로 넘어감
ㅇ 위정척사적 의식이 강했고, 의병해산을 거부하고 강력한 무장투쟁을 전개했고, 최후의 수단으로 해외망명을 결행한 점 등 활동양상에서 두 의병부대는 공통점이 있다.
< 태백전역을 물들인 후기의병 >
ㅇ 1907년 광무황제의 강제 퇴위, 군대해산 등으로 일제 침략이 노골화되면서 의병전쟁이 전국적으로 확산
- 지방의 질서유지를 목적으로 설치된 원주진위대 해산군인을 중심으로 의병운동전개
- 의병부대만 50개 넘었고 의병은 수만명으로 늘었으며, 태백의 골짜기와 능선은 모두 의병의 요새가 되었다.
ㅇ 1908년 13도창의군 1만 여명이 양주에 집결, 서울을 위해 동대문까지 진출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해산하였다.
- 원주에 중심을 둔 관동창의대가 중심이 되었다.
< 태백의 3·1운동 >
ㅇ 3·1운동은 전국적으로 2백만명이 참여했고, 시위횟수는 2천여회
ㅇ 도시, 농촌, 산촌, 어촌을 막론하고 전지역에서 발생
ㅇ 천도교, 기독교, 불교인, 유학자, 화전민 등 모든 계층 시위 참여
ㅇ 의병출신들이 대거 참여
ㅇ 평화적시위와 폭력시위가 함께 나타남
* 영해 만세운동
7. 마치면서
'변방통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가을 산길 (0) | 2023.10.23 |
---|---|
김산 아리랑 (0) | 2023.04.22 |
조선의 혁명가 김산 (0) | 2021.01.17 |
스코트 니어링의 아름다운 임종 (0) | 2020.12.19 |
봄을 준비하는 나무들 (0) | 2020.04.06 |